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TC/story13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갑오개혁(1894)은 1차 2차로 나뉘고 2차는 1894~1895년에 의해 진행이 됩니다. 배경으로는 조선 정부가 교정청을 설치를 하여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하고자 하였으나 동학농민운동(1894)으로 일본이 무력으로 경복궁을 점령하여 내정개혁을 강요하게 됩니다 일본은 흥선대원군을 국왕 대신에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으로 만들고(섭정) 교정청을 폐지하여 개혁을 추진하는 최고 결정기구로 군국기무처를 설치하며 영의정 김홍집이 총재를 겸임하는 1차 김홍집 내각을 수립하게 됩니다 개혁의 내용으로는 청의 연호를 폐지하고 조선이 건국된 해를 기준으로 연도를 세는 개국기원을 사용하고 의정부에 권력을 집중시키고 행정기구를 6조에서 8아문으로 개편하게 됩니다. 또한 과거제도를 폐지하고 신분의 구별이 없는 새로운 관리 임용제도를.. 2021. 1. 19.
동학농민운동 전개 배경 2대 교주 최시형의 포교활동과 교주 중심으로 아래 조직을 이루는 방법을 활용하여 교세가 삼남지방으로 확대가 되었고 처음 목적은 교조 최제우의 명예회복과 포교의 자유를 획득하기 위함으로 삼례 집회에서 동학 탄압 중지를 요구하였으나 그 이후 보은집회에서는 보은에서 보국안민, 왜 척양 창의를 주장하는 집회로 색이 변하게 되고 동학의 활동이 점차적으로 정치운동으로 전환하게 됩니다. 동학농민운동(1894) 은 1차와 2차로 나뉘는데 1차는 민란 2차는 반외세에 목적으로 이루어 졌으며 1차 동학농민으로는 처음에 고부군수 조병갑이라는 자가 불필요한 저수지(만석보)를 쌓는 등 갖은 횡포를 부리게 되고 전봉준이 사발통문을 돌려 농민들을 이끌고 고부관아를 습격한 후 만석보를 파괴하게 됩니다. 사실 이렇게 사건이 종결될 수.. 2021. 1. 15.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임오군란(1882)은 구식 군인들이 신식 군대인 별기군과 차별대우를 받아 불만이 쌓이게 되고 강화도조약 이후 일본은 조선에 대한 경제적 침탈을 강화하게 되어 일본의 쌀 유출로 인해 쌀값이 폭등하자 하층민의 반일 감정이 커지게 되는 상황이었어요. 구식 군인들의 급료가 밀려있는 상태이고 급료로 쌀이 지급이 되었는데 쌀 속에 겨와 모래가 섞여있자 구식 군인들이 선혜청과 일본공사관을 습격하고 별기군의 일본인 교관을 살해하면서 임오군란이 시작이 됩니다. 이후 구식군인은 도시 하층민들과 합쳐지게 되고 민 씨 정권을 축출하기 위해 궁궐을 습격하게 되지만 민비는 충주로 피신을 하게 되며 갈 곳 없는 군인들은 흥선대원군에게 달려가서 집권을 요구하게 되며 흥선대원군은 다시 군란을 진정시킨다는 이유로 집권을 하게 됩니다. .. 2021. 1. 13.
강화도조약과 개항이후 개화정책 강화도조약 (조. 일 수호 조규)의 체결(1876)일본 군함 운요호가 강화도에 접근하여 무력시위를 하였고 초지진과 영종도를 공격하자 조선군이 방어를 위해 경고사격을 하였는데 이를 빌미 삼아 정부에 개항 요구를 하게 되었다. 조선의 신헌과 일본의 대표 구로다가 강화도에서 조약을 하였고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자 불평등조약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으로는 조선이 자주국임을 명시하고 부산 외 2개 항구를 개항하며 조선 해안에 대한 측량권과 치외법권을 인정하게 되어 일본의 조선침략을 마련하게 된다 강화도조약의 부속조약으로조. 일 수호 부록이 있으며 개항장에서 일본의 화폐 유통을 허용하며 일본 교관의 여행 허용, 일본 상인의 활동범위 설정 등을 규정(간행 이정 10리 무역)을 하였다 조. 일 무역규칙으로는 양곡(쌀, .. 2021.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