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말기에는 경술 극치(1910)로 인하여 국권이 피탈되어 일제강점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이전까지 어떠한 과정이 있었는지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02년 한반도를 둘러싼 러시아와 일본의 대립 과정으로 영국과 일본의 동맹 그리고 러시아의 압록강 하구 일대 불법으로 점령하였는데 용암포 사건(1903) 이에 러시아와 일본의 대립이 격화되어 러. 일 전쟁의 계기가 되게 됩니다.
이에 고종은 러시아와 일본의 전쟁에 말려들지 않기 위해 국외중립을 선언하였지만 전쟁은 일본이 제물포에서 러시아군을 공격하면서 시작이 됩니다
전쟁 과정 중 한. 일 의정서(1904.2)를 강제로 체결하여 일본이 군사상 필요한 대한제국의 군사적 요지와 시설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조선이 일본의 상의 없이 타국과 조약을 할 수 없게 하였습니다
얼마 있지 않아 1차 한일 협약 체결(1904.8)을 하게 되는데 러일전쟁 중 전세가 유리해진 일본이 외교에 스티븐스 재정에 메가타를 고문으로 파견하여 고문 정치를 실시하며 해외에 주재하는 한국 공사를 철수시키게 됩니다.
이후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일본이 우세하자 미국과 가쓰라. 태프트 밀약을 체결하고 영국과 2차 영일동맹을 맺는 등 열강으로부터 한국인들의 지배를 묵인받게 되며 러일전쟁 중 일본은 불법적으로 독도를 시네마현에 편입을 하게 되고 러일전쟁에서 승리하게 된 일본은 러시아와의 포츠머스 조약을 통해 대한제국에 대한 이권을 인정받게 되고
이후 바로 덕수궁 중명전에서 강압적으로 제2차 한일 협약 (을사늑약)을 강제로 체결하게 됩니다. 을사늑약(1905.11)은 통감부를 설치하여 보호 정치를 실시하며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는 등 식민지화에 수순을 밟아가게 됩니다
을사늑약은 다른 조약과는 달리 외교권이 박탈되었다는 점이 거의 식민지가 되었다는 걸 의미하여 민영환 조병세 등은 자결로써 항거를 하고 나철과 오기호는 자신회를 조직하여 을사늑약에 찬성한 을사오적을 처단을 시도하게 됩니다 황성신문에는 을사늑약을 규탄한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이 게재되며 이상설 등 을사늑약에 서명한 대신들의 처벌과 조약의 폐기를 요구하는 상소운동이 일어나지만 별 영향은 없었습니다
고종 또한 헐버트를 미국에 파견하여 을사늑약의 무효함을 전달하게 하고 이상설 이준 이위종에게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만국평화회의에서 을사늑약의 무효와 일제의 침략적 행위를 알리게 하고자 하였으나 일본의 방해로 실패하게 됩니다(1907) - 헤이그 특사
이 헤이그 특사를 빌미 사아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순종을 즉위시킨 후 순종의 동의 없이 한. 일 신협약(정미 7 조약) 1907년 을 강제로 체결하게 되는데 이 내용은 대한제국의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키며 통감의 내정간섭 권한을 강화시키며 대한제국 각 부서에 일본인 차관을 파견하여 파견 정치를 실시하게 합니다
이후에 1909년 기유각서를 체결하여 대한제국의 사법권과 감옥 사무처리권을 박탈하며 이후에 경찰권까지 박탈하게 됩니다
이후 한. 일 병합 조약을 체결하여 (경술 극치 1910) 일본이 대한제국의 국권을 완전히 피탈하며 식민통치가 시작되게 됩니다. 일본은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데라우치를 초대 총독으로 임명하게 됩니다.
'ETC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소 금연 클리닉 (금연패치 금연껌 후기) (1) | 2021.02.28 |
---|---|
항일 의병운동과 애국계몽 운동 (0) | 2021.01.29 |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0) | 2021.01.22 |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0) | 2021.01.19 |
동학농민운동 전개 배경 (0) | 2021.01.15 |
댓글